자료를 찾아 보아도 어렵지만, 핀란드에서 교사양성을 어떻게 하는지 어렴풋 알겠다.

특수교사-핀란드-헬싱키 대학 기준
학급교사, 교과교사 교과목

핀란드의 특수교육으 대부분 일반교육에 통합되어 이루어진다고 해서 특수교육 기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핀란드에도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 특수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별도 기관이 존재한다(Mihajovic, 2018a). 2015년 핀란드 통계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 학생의 0.9%가 특수교육기관을 이용했고 매우 적은 비율이다.(OSF, 2016). 2004년을 기준으로 핀란드 학생의 1.7%특수교육 기관을 이용하고 있고 점점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통계를 따르면 핀란드 특수교육대상학생중 89%는 일반학교에 다니며 일반학급이나 학교 내 별도 그룹(특수학급)에 속해 있으며 교육을 받고 있다. 특수교육이 필요한 전체 학생의 11%만이 특수학교나 특수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다.

 

더보기

In Finland, special needs education is largely integrated into mainstream schools, but there are also special needs institutions in Finland (cf. Mihajlovic, 2018a). However, with 0.9% of all Finnish pupils (as of 2015), these represent a very small proportion (OSF, 2016). In 2004, 1.7% of Finnish pupils still attended special needs institutions, so a decline can be observed here. According to OSF(2016), 89% of al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Finland attend mainstream schools, either in joint classes or in separate groups within the school. Only 11% of all pupils with special needs are educated in special schools or special institutions
(Fig. 4.10).

핀란드에서는 특수교육이 주로 일반 학교 내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지만, 여전히 특수교육 기관도 존재합니다(Mihajlovic, 2018a).

그러나 2015년 기준으로 전체 핀란드 학생 중 특수교육 기관에서 교육받는 비율은 0.9%에 불과하며(OSF, 2016), 이는 매우 적은 비율입니다. 과거 2004년에는 1.7%의 학생들이 특수교육 기관을 이용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특수교육 학생 중 89%는 일반 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이들은

  • **통합 학급(joint classes)**에서 일반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거나
  • **학교 내 별도의 그룹(separate groups within the school)**에서 특수교육을 받습니다.

반면, 특수학교나 특수기관에서 교육받는 학생 비율은 11%에 불과합니다(OSF, 2016).

즉, 핀란드는 특수교육을 일반 교육 체제 안에서 가능한 한 포함(inclusive)시키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수교육 기관의 역할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핀란드 장점

- 학교지원이 공공의 과제로 인식되지 않음

- 학교 자체에서 제공되고 국가재정으로 지원한다는 점

 

 

 

 

https://i-aha.com/product/hybrid-8020f/

 

hybrid-8020F

제품사양 검출방식IR센서 무게70 kg 사용온도0~40 ℃ 용도강의/회의 운영체계WIN 7 이상, Mac 10.10 이상, Android 11.0 이상 응용소프트웨어EDUPEN PRO 인터페이스방식USB, plug-and-play 방식 재질알루미늄/유리

i-aha.com

교육청에서 교부받은 공사예산으로는 부족해서 못할 것 같았는데, 학교예산으로 설치해줬다.

방학 전에 발주했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설치하러 언제 오는지 몰랐는데 금요일(3월 7일)날 설치한다고 연락이 왔다.

404호 교실에 설치완료 되고, 교내방송 시험도 했는데 방송담당 선생님이 월요일에 한가지 더 테스트 해봐야한다고 했다.

월요일 아침에 챙겨봐야지! 교실 만들라고 공사비를 줄거면 넉넉하게 많이 줄것이지, 1,200이나 덜 주고 말이야, 가전도 다 못 샀다.

아쉬운점: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장인데 서랍을 열 수가 없음

Laaja-alaisen erityisopetuksen käsikirja - Tiina Vitka | Santalahti

 

Laaja-alaisen erityisopetuksen käsikirja

Laaja-alainen erityisopettaja on pedagoginen asiantuntija ja moniosaaja. Jatkuva into kehittää omaa osaamistaan auttaa jäsentämään monimuotoista työnkuvaa ja antaa eväitä työn hallintaan.

www.santalahtikustannus.fi

 

구굴에서 이 핸드북이 검색되어서 무척 좋았는데, 목차 대비 22쪽 밖에 안나와서 의아하다고 생각했다.

맛보기 페이지만 올려진 모양...  이후 내용을 보려면 사야한다.

41.50유로

63,000원

 

고민이네?

핀란드 교육에는 3단계 교육지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미국의 RTI 모델이 배경이 되었다는 연구가 있고, 그렇다면 내용도 같은가? 무엇이 다른가?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핀란드 3단계지원 모델은 미국의 것을 차용 했지만, 운영방식이 다르다.

핀란드와 미국의 3단계 지원이 무엇이 다른가에 대한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미국은 학습장애 선별을 목적으로,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핀란드는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고 교육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일반직원 > 강화지원> 특별지원 순으로 이루어지며, 운영방식이 지자체마다 차이가 있다.(지체체 예산 등에 따라 서로 다르다는 의미)

 

우리나라에서 핀란드 교육을 연구한 많은 논문을 보면 

핀란드에서 일반지원, 강화지원, 특별지원을 받는 학생 비율이 20% 등등 이런 표현이 많이 나온다.

처음에 핀란드 교육을 잘 모를 때는 그런가 보다 하고 넘기고, 중요하니 메모해야겠다 생각 했는데 내가 읽은 수 많은 논문도 문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어떤 한 논문이 3단계지원 통계 원천이 되어 재재재재재인용 되는 것 이었다.

 

크억...^^;;

서로 다른 나라 교육통계를 외국인이 어떻게 알겠나?

앞에 읽었던 석사 논문에서 핀란드 교육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았다.

그리고 2024년 기준으로 최신의 통계를 볼 수 있었다.

학교가서 출력해와야지!!

핀란드 통계청 홈페이지 접속 > 학습 지원 통계(Oppimisen tuki) 검색
Statistics Finland. (2024). Oppimisen tuki [Learning support]. Statistics Finland. https://stat.fi/julkaisu/cln0eg9gfoaai0cut0zyvjce5

https://stat.fi/julkaisu/cln0eg9gfoaai0cut0zyvjce5

 

Joka neljäs peruskoulun oppilas sai tehostettua tai erityistä tukea vuonna 2023 | Tilastokeskus

Erityisryhmässä entistä harvempi oppilas Erityistä tukea saaneista oppilaista 5,3 %:lla opetus annettiin kokonaan erityiskoulun erityisryhmässä tai -luokassa syksyllä 2023. Kokonaan erityiskoulun erityisryhmässä tai -luokassa opetuksensa saavien

stat.fi



통계 핀란드에 따르면, 2023년에는 점점 더 많은 종합 학교 학생이 학습 지원을 받을 것입니다. 84,300명(15.0%)이 강화된 지원을 받았고 59,100명(10.5%)이 특별 지원을 받았습니다. 강화된 지원과 특별 지원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전년 대비 1.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주요 하이라이트
강화된 지원을 받는 학생 중 61%는 남학생이고 39%는 여학생이었습니다. 특별 지원을 받은 사람 중 69%는 남자아이이고 31%는 여자아이였습니다. 2023년에는 초등학교 학생의 51%가 남학생이고 49%가 여학생이었습니다.2023년에 특별 지원을 받는 1~6학년 학생 중 32%는 특별 그룹이나 학급에서 전적으로 교육을 받았고, 7~9학년에서는 해당 비율이 29%가 될 것입니다.지방에서 강화된 지원과 특별 지원의 합계액은 21%에서 33%까지 다양했습니다.유아교육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미취학 교육에서 학생의 14%가 강화된 지원이나 특별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 중 71%가 남자아이였고 29%가 여자아이였습니다.직업 기초 교육에서 16%의 학생이 특별 지원을 받았습니다.


특수교육 그룹의 학생 수가 적다
특별 지원을 받는 학생 중 5.3%는 2023년 가을에 특수 학교의 특수 그룹 또는 학급에서 전적으로 교육을 받았습니다. 특수 학교의 특수 그룹 또는 학급에서 전적으로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매년 감소했습니다. 2023년에는 이 비율이 2011년보다 8.3%포인트 낮았습니다. 특수학교가 아닌 특수 집단이나 학급에서 전체 교육을 받은 사람의 비율은 2023년에 26%였습니다.
특별 지원을 받은 학생 중 31%는 특별 그룹이나 학급에서 전적으로 교육을 받았고, 35%의 학생은 일반 교육 그룹에서 교육의 80~100%를 받았습니다. 나머지 33%의 경우, 교육은 일반교육 그룹과 특수교육 그룹이나 학급에 걸쳐 더욱 균등하게 분배되었습니다.

---- 등등

Haapakorva, H. (2016). Erityisopettajan työnkuva Torey Haydenin teosten valossa [The job description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light of Torey Hayden's works] (Pro gradu – tutkielma). Lapin Yliopisto.

하아파코르바, H. (2016). 토리 헤이든의 작품에 비추어 본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 설명 (석사학위 논문). 라플란드 대학교.

5.학위-석사-2016-Torey Hayden의 작품에 비추어 본 특수 교육 교사의 직무 설명-2016.pdf
0.74MB


처음에는 박사 논문인 줄 알았는데, 읽어보니 토리 헤이든이 박사 공부를 하다가 중단했고 학위를 얻지 못했다였다.

논문 저자는 핀란드 현지 특수교사가 작성한 석사 논문이다.

논문 계획하고 출판하기 까지 4년이 걸렸단다. 계획하고 한 동안 공백기가 있었던 모양이다.

실제 작성은 6개월만에 했다며, 이렇게 할 수 있는 걸 왜 못했나 반성의 글을 보면서 어디나 논문 글쓰기 어려워 하는 것은 마찬가지구나 생각하며 혼자 웃었다.

 

주제는 특수교사 직무에 관한 것인데 이것을 토리 헤이든(심리학, 생물학 전공 특수교사)이 장애가 있는 학생과 학교 시설 병원에서 생활하면서 경험한 사례를 바탕으로 특수교사 역할에 대해 기술 분석 해석 하였다. 저자가 수집한 질적자료는 없는 셈이다.

연구방법은 질적내용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에 인용된 서지정보

Tuomi & Sarajärvi 2009 , 91, 103-108

Tuomi & Sarajärvi 2009, 108

토리 헤이든의 작품 중에서 특수교사 역할이 반영된 작품을 선정하고 그 안에서 학생 사례를 정서, 행동 등으로 나뉘어 선정하고 헤이든이 학생을 어떻게 지도하고, 그 안에서 특수교사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정리했다.

외국의 사례라서 그런지 아동학대나 정서적 학대를 받은 사례도 있는 데 이를 보면 외국은 우리나라 보다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는 걸 다시금 알게됬다.

 

덕분에 새로운 독서의 지평을 갖게 됬다.

읽어보면 좋겠지만, 언제...?

 

https://www.torey-hayden.com/

 

Torey Hayden - Torey Hayden

Torey is the author of three novels, eight non-fiction books about her experiences working with troubled children and children’s books.  In a writing career that has spanned more than three […]

www.torey-hayden.com

쳇이 찾아 줬는데 작가의 개인 홈페이지가 있다.

엄청 유명한 분인가본데, 나는 왜 몰랐을까?

 

기존에 특수교사가 저술한 에세이나 교단일기를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해도 좋겠네?

연구실 월례회때 이야기 나눠보면 좋은 연구주제가 생길 수도 있겠다.


학생 사례1

Venus 비너스는 선택적 침묵증을 앓고 있는 일곱 살 소녀입니다. 그녀는 생기가 없고 소극적이며 방치되고 학대를 받아왔습니다. 비너스는 9남매 중 막내로 어머니와 형제들 외에 폭력적인 남자친구가 있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세 명의 아버지가 있는데, 모두 폭행 등 다양한 이유로 현재 수감 중이거나 과거에 수감된 적이 있습니다. 온 가족이 작은 캐러밴에서 살고 있습니다. 가족 중 세 명은 지체 장애로 분류되고 두 명은 심각한 의사소통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아이들은 감옥에 있습니다. 비너스의 형제 중 한 명은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언니 완다로, 사실 비너스의 친어머니입니다. 비너스의 아버지는 가정집에서 남자친구로 살면서 정신지체 장애를 가진 소녀를 학대했습니다. 그는 절도 및 알코올과 마약과 관련된 기타 범죄 전력이 있습니다. 그는 또한 소아 성애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가족의 어머니는 여러 차례 알코올과 약물 치료를 받은 매춘부입니다. 어머니의 현재 남자친구는 비너스를 학대하고 트레일러의 작은 화장실의 차가운 바닥에서 잠을 자도록 반복적으로 강요하여 저체온증과 발가락 절단으로 인해 위독한 상태로 입원하게 됩니다. 동시에 그녀가 수년 동안 겪은 여러 가지 오래된 골절의 흔적도 발견됩니다(Hayden 2007b).

내가 배울 부분

  • 특수교사는 학생과의 관계를 어떻게 맺는지 중요하다. 때로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 가르치는 것이 다가 아니다. 어쩌면 이 부분은 부담스러울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 일반학급에 있는 많은 학생은 특수교사의 가장 좋은 협력자이다.
  • 담임교사가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을 대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 학교 전체 구성원의 특수교육에 대한 생각이나 학생을 지도하는 자세는 교장이 특수교육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는지 영향을 미친다. 교장은 특수교사가 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그의 교육실천에 지지해 주어야 한다.
  • 학교 안에서 특수교사는 소수 이기 때문에 일반교사 의논의 대상이 적기 때문에 그 역할을 교장이 해주어야 한다.
  • 학교 안에서 특수교사는 교육활동 지지부족이나 갈등, 협력의 어려움을 개인의 탓을 돌리기 쉽고, 심리적으로 위축된다.
  • 특수교사의 회복적 탄력성은 중요하다.
  • 핀란드에는 학교 심리상담가가 있어서 특수교사가 상담가와 함께 논의하는 것 중요하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부분)

 

이 논문의 연구자의 해석 부분을 읽으면서 내가 한국의 특수교사로 살면서 경험하고 생각했던 부분들과 많이 일치했다.

담임교사가 학생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태도와 생각

학교장의 특수교사 지지와 지원

동료교사 간의 협력의 중요성

보조인력과의 협력의 중요성 (보조인력이라도 아무나 뽑지 많고 약간의 경험이 있는 사람을 채용)

 

특히, 교육활동이 생각되로 잘 되지 않을 때 그 원인을 특수교사 개인에게 돌린다는 부분은 내가 생각했던 부분이랑 너무 일치가 되어 개인적 경험과 감정에 대한 근거있는 주장할 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논문을 읽어야 하는 이유나 선행연구를 정리해서 합당한 이유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알게 됬다.

 

논문을 읽는 것은 시간이 걸리지만, 하나라도 얻으니 다행이다.

이하 참고 하고 싶은 것이 많지만, 따로 정리해 둬야겠다.

 

핀란드 학위 논문은 서론과 결론 부분이 전통적인 논문 기술 방식과는 좀 다르다? 열려있는 기술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연구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데,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저의 논문은 특히 특수 교육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도구는 자신이라는 Määtt(2005, 215-216)의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그들의 성격과 개인적인 자질. 다른 많은 직업에서는 성격이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무표정하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수교사라는 직업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진실하지 않은 태도로 특수 아동을 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 직업에서는 교사 책상 뒤에 숨을 수도 없고 숨어서도 안 됩니다. 제 논문은 학생을 배려하고 학생과 개인적이고 신뢰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특수 교육의 기초라는 Marlowe(2006, 94-96)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헌신과 베품이 필요하며, 자신의 재킷이 이미 비어 있을 때에도 자신을 끌어당겨야 합니다. 배려란 아동의 감정과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경청하고, 함께 생활하고, 보듬고, 사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Marlowe 2006, 94-96). 이러한 자질과 이러한 베품 없이는 아동의 신뢰를 얻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신뢰는 문제를 낳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적 사랑이라고 말할 수도 있고, 교사에 따라서는 교육적 사랑 그 이상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제 논문은 아이의 삶에 안전한 어른이 한 명이라도 존재하면 아이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혹독한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등 광범위한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감정적인 일은 때때로 그 일을 하는 사람에게 정신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 일과가 끝나면 그동안 살아오고 경험한 모든 것을 잊을 수는 없지만, 특히 부정적인 일이 발생하면 감정 상태는 항상 켜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패는 종종 무겁고 개인적인 방식으로 경험되는데, 특수 교사는 온몸으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패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패는 심지어 인격의 위기로 경험할 수도 있으며(Julkunen 2008, 124),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경우 감정적 업무의 부담으로 인해 쉽게 지칠 수 있습니다. 특수 교사를 대신할 자격을 갖춘 대체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특수 교사에게 피로로 인한 결근이 반드시 선택 사항이 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여가 시간과 직장 모두에서 회복탄력성을 증진해야 합니다. 시토넨, 레폴라, 로빈슨(2002, 48)에 따르면 여가 시간은 취미 및 기타 여가 활동을 통해 일과 관련된 생각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계를 증진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며, 이는 제 논문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직장에서의 웰빙에 대한 투자 및 개선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료 지원과 그 가용성 또한 제 연구에서 예측할 수 없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특히 소규모 학교나 소규모 지역에서는 특수 교육 교사가 실제 동료가 없지만 해당 지역의 특수 교육에 대한 최고의 전문가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기밀 유지 때문에 학생의 문제를 관련 없는 사람들과 논의할 수 없기 때문에 동료 지원의 실질적인 가능성이 없습니다. 그러나 제 연구에 따르면 그날 있었던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동료와 아이디어를 교환해야 할 필요성은 매우 높습니다. 직장 공동체, 동료 및 상사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원은 중요한 개인 자원이며 교사의 행복의 중심입니다(Mäkinen 1998, 34). 실제 동료가 없고 담임 교사가 업무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저의 연구는 동료 지원 제공자이자 학교 전체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권위자로서의 담임 교사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교장은 특수 교사의 업무에 관심을 보이고, 경청하고, 인정함으로써 특수 교사의 복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수 교육에 대한 교장의 태도는 학교 전체의 태도를 결정합니다. 교장이 말과 행동 모두에서 특수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특수 교육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다른 교사와 학생들로부터 도움을 받기가 더 쉬워지므로 교사의 업무가 더 쉬워질 것입니다(최소한 관용을 베풀면).

https://finlex.fi/eli?uri=http://data.finlex.fi/eli/sd/1998/986/ajantasa/2021-02-04/fin

 

986/1998 | Lainsäädäntö | Finlex

 

finlex.fi

 

이 사이트에서는 핀란드 각종 교사 자격에 대한 자격 요건을 알 수 있다.

메인 페이지


 

+ Recent posts